구글 서치 콘솔에서 RSS 등록 오류 해결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 서치 콘솔에서 RSS 등록이 안 될 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공유해 드릴게요. 블로그 운영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팁이니 집중해 주세요!
1. RSS 피드란? 🤔
먼저, RSS 피드가 무엇인지 간단히 짚고 넘어갈게요. RSS는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새 글을 자동으로 검색엔진에 알리는 도구예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기본적으로 https://yourblog.tistory.com/rss
형식의 RSS 주소가 제공돼요. 이걸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하면, 블로그 글이 더 빨리 검색 결과에 반영돼서 방문자를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024.12.08 - [소문자 n잡러(부업) 도전기/두 번째 이야기 : 티스토리 블로그] - 블로그 운영자를 위한 RSS와 XML의 모든 것: SEO와 트래픽 향상을 위해 알아야 할 기본 개념
블로그 운영자를 위한 RSS와 XML의 모든 것: SEO와 트래픽 향상을 위해 알아야할 기본 개념
안녕하세요. 오채움입니다. :) 오늘은 앞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접하게 될 SEO를 알기 전 미리 알아두면 좋은 기본 개념에 대해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보통 수익형 블로그를
safeohday.tistory.com
2. RSS 등록 방법 ✍️
RSS를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 구글 서치 콘솔에 로그인
-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해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사이트맵 메뉴로 이동
- 좌측 메뉴에서 "사이트맵"을 선택합니다.
- RSS 주소 입력
- 새 사이트맵 추가 창에
rss
또는https://yourblog.tistory.com/rss
를 입력합니다.
- 새 사이트맵 추가 창에
- 제출 클릭
- 제출 후 상태를 확인합니다. 오류가 나타난다면 아래 해결 방법을 참고하세요!
2024.12.27 - [소문자 n잡러(부업) 도전기/두번째 이야기 : 티스토리 블로그] -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한 번에 끝내는 등록 방법!
구글 서치 콘솔,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한 번에 끝내는 등록 방법!
구글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웹마스터도구)등록, 내 블로그 검색엔진 최적화!안녕하세요. 오채움입니다😊오늘은 티스토리를 시작하고 구글과 네이버에 내 블로그가 검색될 수 있도
safeohday.tistory.com
3. RSS 등록 오류 해결 방법 🔧
현재 온라인에 나와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해보고 제가 해결하였던 방법을 소개해드릴 테니 차근차근 따라 해보시길 바랍니다.
(1) 사이트맵 삭제 후 재등록
- 문제: 이전 등록된 URL이 캐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 서치 콘솔에서 기존 RSS URL을 삭제한 뒤, 24시간 기다렸다가 다시 등록해 보세요.
저의 경우 아무리 기다려고 계속 '가져올 수 없음'으로 나왔지만 막상 연결이 성공된 것은 새로 등록 후 10분 내외의 기다림 뿐이었습니다.
(2) URL 형식 확인
- 문제: 슬래시(
/
) 유무로 URL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https://yourblog.tistory.com/rss
대신https://yourblog.tistory.com/rss/
로 입력해 보세요.
저도 "rss", "/rss", "rss/", "/rss/"와 같이 슬래시의 위치를 바꿔가며 등록해보았지만 별 소용이 없었습니다.
(3) robots.txt 문제 해결
문제:robots.txt
파일이 RSS 피드 접근을 차단할 수 있어요.해결 방법:브라우저에서https://yourblog.tistory.com/robots.txt
를 열어 확인하세요.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사용해 robots.txt를 수정하고 구글 접근을 허용하세요.
🤔 여러 블로그가 알려주는 robots.txt 등록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모든 로봇의 검색을 허용하고 있어 크롤링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저희가 수정할 방법도 없습니다.
또한 robots.txt는 상위 root 디렉토리에 업로드되어야 적용할 수 있고, 현재 알려진 티스토리 html편집의 파일업로드의 경우 image 디렉터리에 txt파일이 업로드되는 것이기 때문에 업로드를 하지 않아도 전혀 무관합니다.
애초에 robots.txt의 목적은 로봇의 접근 허용이 아닌 크롤링하지 않아야하는 관리자 페이지와 같은 곳들을 접근을 하지 못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4) 메타태그 등록
- 문제: 구글과의 연결이 불완전할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 티스토리 관리자에서 제공하는 메타태그를 복사해 HTML 소스 코드의
<head>
태그 안에 붙여넣으세요.
- 티스토리 관리자에서 제공하는 메타태그를 복사해 HTML 소스 코드의
(5) 티스토리 플러그인 활용
- 문제: 구글 서치 콘솔과 티스토리의 연동이 부족할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 티스토리 관리 메뉴 > 플러그인 > "구글 서치 콘솔"을 활성화하고 계정을 연동하세요.
플러그인을 연결하고 rss등록이 성공하였다는 분도 계시고, 저 또한 연동중인 상태에서 등록이 되었습니다.
(6) RSS 발행 개수 조정
- 문제: RSS 피드에 포함된 게시글 개수가 많거나 적어서 문제가 될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 티스토리 관리자에서 RSS 발행 개수를 10~50개로 설정해 보세요.
제가 성공한 방법입니다.
위의 방법을 모두 해보았지만 해결이 되지 않다가 rss 발행 수를 50 ➡ 40으로 수정하였더니 바로 성공했습니다.
4. RSS 테스트 도구 사용법 🔍
- URL 검사 도구로 이동
- 구글 서치 콘솔에서 "URL 검사"를 선택합니다.
- RSS URL 입력
- 입력창에
https://yourblog.tistory.com/rss
를 입력하고 결과를 확인하세요.
- 입력창에
- 결과 확인 및 요청
- "URL이 Google에 등록되지 않았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
위 사진을 보면 색인 신청을 해놓은 주소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현재 rss등록이 완료되었으니 이 또한 무관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RSS 대신 사이트맵을 등록해도 될까요?
A: 네! RSS 대신 https://yourblog.tistory.com/sitemap.xml
을 등록해도 됩니다. 두 방법 모두 검색엔진 최적화(SEO)에 효과적이에요.
Q2. RSS 등록 후 언제 반영되나요?
A: 구글이 RSS를 크롤링하는 데 보통 24시간 정도 걸립니다.
Q3. RSS 등록 실패가 SEO에 영향을 미칠까요?
A: RSS 등록은 선택 사항이에요. 사이트맵만 잘 등록되어 있다면 큰 문제는 없어요.
구글 서치 콘솔에서 RSS 등록오류로 저처럼 방법을 찾아 헤매었던 분들, 오늘 소개해 드린 방법들을 차근차근 시도해 보세요. 블로그 유입을 늘리는 중요한 과정이니 놓치지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