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재테크 이야기

2025년 OECD 경제성장률 하향과 준비해야 할 것들

oh_chaeum 2024. 12. 7. 08:00

안녕하세요. 오채움입니다 :)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 경제 성장률 하향조정 소식과 관련하여 우리가 준비해야 할 방향에 대해 함께 공부해보려 합니다.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왜 낮아졌을까?

2025년 OECD 경제성장률 하향과 준비 방법
자료출처 : 동아일보 https://naver.me/5RhX9Tyu

 

OECD는 최근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작은 수치 차이 같지만, 이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최근 일어난 비상계엄령 사태를 반영하지 않은 수치여서 정치리스크까지 떠안게 된 지금 더 낮아질 가능성도 생각해보아야 할 시점인 것 같습니다.
또한, OECD는 내년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예상치를 1.8%로 제시하면서 “2025년에는 기준금리가 연 2.5%까지 낮아질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출처 : https://www.segye.com/newsView/20241204520385?OutUrl=naver)
 

[ 주요 원인 ]

 
1. 수출 의존도 높은 경제 구조

  •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 산업의 경쟁 심화와 글로벌 수요 감소.
  • 미·중 갈등, 유럽 경기 둔화 등 외부 요인의 영향.

2. 내수 침체

  • 고물가 지속과 소비 위축.
  •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부채 부담 증가.

 3.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

  • 생산 가능 인구 감소 → 경제 성장 제약.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1. 자산 관리 전략 강화
: 금리 인하로 예·적금 이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다양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저금리 시대를 대비한 분산 투자: ETF, 채권, 금 등 안전 자산 활용.
  • 고금리 상품이 만기 되지 않았다면 자동 연장을 방지하고, 타 투자 상품을 검토.
  • 고수익 금융 상품 탐색: 주식, 채권, 부동산 리츠 등 대안 상품 투자.
  • 물가 연동 자산: 금리 인하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을 경우, 금이나 물가 연동 채권과 같은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 검토.
  • 필요시 중위험·중수익 투자 대안으로 ETF, 채권형 펀드 등을 고려.
  • 고물가 시대 대비 지출 관리: 생활비 점검, 소비 패턴 최적화.

2. N잡과 부업 준비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초기 투자 비용이 적고 접근성이 좋습니다.
  • 블로그 및 유튜브 운영: 관심 있는 분야를 주제로 콘텐츠 제작.
  • 재능마켓 활용: 크몽, 탈잉 등에서 자신의 스킬을 판매.

3. 미래 성장 산업에 대비

  • 디지털 기술: AI,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 친환경 산업: 태양광, 전기차 등 관련 기술 학습.
  • 바이오산업: 제약, 의료 분야 지식 습득.

성장률 하향 조정과 금리인하는 분명 아쉬운 소식이지만, 우리는 열심히 공부하고 대비하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작고 소중한 월급을 더욱 알차게 지키고, 새로운 도전이 궁금하다면 여러분의 N잡, 재테크, 부업 이야기를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함께 배워가요!